안면마비
안면마비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. 첫 번째로 흔히 중풍이라고 부르는, 뇌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고 두 번째는 귀 뒤쪽의 유양돌기 부근의 신경절에서 문제가 생기는 말초신경계 질환입니다. 구안와사는 이 중 후자에 해당되며, 여름철에 찬 바닥에서 자거나 극심한 피로,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구안와사는 발병 후 최대한 빠르게 치료를 시작해야 예후가 좋으니 치료의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길 바랍니다.

적용 질환
말초신경마비(구안와사), 삼차신경통(안면 통증), 턱관절 통증, 눈떨림 등
안면마비
안면마비는 얼굴 근육을 담당하는 안면신경이 마비되면서
입을 포함해 얼굴이 틀어지거나 눈꺼풀이 덜 감기게 되는
질환입니다. 한의학에서 안면마비는 얼굴에 분포된 경락에
풍한, 한습사가 침범해서 발생하거나 과로나 스트레스 등
면역력과 기력이 저하된 경우, 또한 기혈이 순환이 되지 않아
발생한 어혈 등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

안면마비로 외관상 얼굴이 비뚤어지고 이상 감각이
느껴지기도 합니다. 얼굴의 미세한 움직임, 이마에 주름 잡기,
눈 감기, 입 꼬리 올리기, 코 찡그리기 등이 어려워지며,
근육기능이 저하되어 음식을 먹을 때 마비된 쪽으로
음식물이 새어 나오기도 합니다.
향림당한약방에서는 안면마비 개선을 위해 발병 초기부터
약물, 침, 뜸, 한약, 부항 등 여러 방법을 적용합니다.
다양한 한방요법은 기혈 순환을 조절하여 풍한사를 제거하고
안면부의 손상된 신경과 근육기능의 회복을 돕습니다,
또한 환측의 혈액순환 촉진, 소염, 진통, 순환촉진, 면역력 강화,
혈행을 개선 등을 목표로 합니다.
